728x90

전자책이 팔리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한 이유

전자책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은 건,
수익화 때문이었다.

블로그를 쓰기 시작하면서
‘디지털 콘텐츠 자산화’라는 말을 들었고,
전자책이 잘 팔렸다는 후기들을 보며
“나도 한번 해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그런 마음이었다.
내 이야기를 정리해서
조금이라도 수익이 되면 좋겠다고.


📘 쓰는 도중 깨달았다: 이건 돈보다 중요한 작업이었다

막상 전자책을 쓰기 시작하니
전혀 다른 감정이 찾아왔다.

내가 걸어온 감정의 흐름을,
단어로, 문장으로, 구조화한다는 것.

 

그건 단순한 ‘수익화 콘텐츠 기획’이 아니라
나의 삶을 다시 바라보는 과정이었다.

 

  • 어떤 순간을 내가 기억하고 있고
  • 무엇을 강조하고 싶은지
  • 어떤 문장은 지금도 나를 울리는지

이 모든 걸 고르는 일은
정리라기보단 치유에 가까웠다.


💡 전자책은 ‘기억’이 아니라 ‘기록’이어야 했다

디지털노마드

 

처음엔 텍스트를 긁어모아
그럴싸하게 포장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문장 하나하나를 붙잡고 다시 읽으며
나는 다른 마음이 들었다.

 

“이건 그냥 ‘팔릴 글’이 아니라
나의 ‘복구의 서사’가 되어야 한다.”


팔리지 않아도 괜찮은 글.
그게 진짜 쓰고 싶던 글이었다.

왜냐면
팔리지 않아도 남는 건 있었으니까.

 

  • 감정을 언어로 변환한 경험,
  • 흐트러진 과거를 구조화한 경험,
  • 나에게 힘이 되는 문장을 나 스스로 만든 경험.

🎯 그래도, ‘팔리게 하려는 노력’은 놓지 않았다

그렇다고 마냥 감성에만 빠져있었던 건 아니다.

  • 어떤 제목이 검색에 잘 걸리는지
  • 어떤 구성에서 이탈률이 낮은지
  • 부록으로 무엇을 주면 도움이 되는지

이런 고민도 동시에 했다.

다만 우선순위가 달라졌을 뿐이다.

  1. 나를 위로하고 정리하는 글을 먼저 쓴 뒤,
  2. 누군가에게 전달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는 것.

콘텐츠 자산화는
돈이 아니라 감정의 깊이에서 시작된다는 걸
나는 전자책을 쓰며 처음 알았다.


📌 콘텐츠가 안 팔려도 내가 남는다

실제로 전자책이 몇 권 팔리든
그건 중요한 이슈가 아니었다.

더 중요한 건
전자책을 쓰는 과정이 나를 바꿔놨다는 것.

  • 나는 이제
    내 이야기를 구조화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고,
  • 감정을 콘텐츠로 연결하는 힘을 가졌고,
  • 콘텐츠의 중심에 나 자신의 언어를 둘 수 있게 됐다.

이건 숫자로는 셀 수 없는 변화였다.


💬 ‘팔리는가’보다 ‘쓸 수 있는가’가 먼저다

누구나 콘텐츠로 수익을 내고 싶다.
나도 그렇다.
하지만 지금 나는 이 말을 더 자주 한다.

 

“팔리는 것보다 먼저,
쓸 수 있는가가 더 중요해요.”

내 감정, 내 경험, 내 언어를
글로 옮길 수 있는가.

그게 되면 수익은 따라온다.


전자책은 안 팔릴 수도 있다.
하지만 쓰지 않으면,
내 감정은 기록되지 않고,
기록되지 않은 감정은 자산이 되지 않는다.

728x90
반응형
728x90

블로그, 전자책, 템플릿… 내 콘텐츠 자산화의 작은 시작들

1500만 원을 잃고, 감정이 무너지고 자존감이 바닥을 쳤을 때
나는 ‘기록’을 시작했다.

기록은 감정을 다독이는 일에서
조금씩 ‘자산화’라는 가능성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나를 기록하다

 

아직 수익은 없다.
하지만 분명히,
나는 ‘살아낸 감정’을 콘텐츠로 옮기고 있는 중이다.


📘 1. 블로그: 내 마음을 세상과 연결한 첫 창구

처음 썼던 글들은
그저 내 마음을 정리하려는 시도였다.
하지만 쓰다 보니
‘나 같은 사람도 있겠지’라는 마음이 생겼다.

  • 감정을 쓴 글에 댓글이 달리고
  • 사주 흐름을 쓴 글에 공감이 생기고
  • 일상의 루틴을 나눈 글에 저장이 눌렸다

블로그는 내 회복을 외부와 연결해주는
첫 번째 확성기가 되어주었다.


📕 2. 전자책 기획: 기록의 종착지를 만들고 싶었다

정신없이 써둔 블로그 글,
메모장에 쌓인 감정일기,
노션에 남긴 사주 분석…

이걸 하나의 흐름으로 묶고 싶었다.
내가 ‘어떻게 무너졌고, 어떻게 다시 정리했는지’
그 전환의 기록을 남기고 싶었다.

전자책은 수익 이전에

“내가 살아낸 기록의 증거”가 되고 있었다.


🧩 3. 템플릿: 루틴을 구조화한 도구 만들기

내가 쓰는 감정 기록, 사주 흐름 체크,
에너지 시각화 같은 것들은
단순 루틴을 넘어서 나만의 도구가 됐다.

이걸 정리해서 템플릿으로 만든다면?

  • 나처럼 감정이 복잡한 사람에게
  • 흐름이 필요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모르는 사람에게

작지만 실질적인 구조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이건 팔기 위한 게 아니라
공감 기반의 자산
이 될 거라 믿는다.


🧭 4. 지금까지의 요약

  • 블로그: 감정을 말로 풀어낸 곳
  • 전자책: 기록을 하나로 묶는 종착지
  • 템플릿: 루틴을 구조화한 도구

모든 건
내가 무너졌던 감정을 회복하며 만들게 된 결과였고,
그 자체로 이미 의미 있었다.


💬 마무리: 자산화는 '감정 이후의 다음 단계'

사람들은 자산화를 말할 때
팔고, 벌고, 성장하는 구조만 이야기하지만

 

내게 자산화는
‘감정을 흘려보낸 후에 남은 것들을
모아 의미로 만드는 과정’
이다.

 

아직 성공도, 수익도 없지만
나는 이미 의미 있는 시작을 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요즘 나는 내가 썼던 감정일기, 블로그 글, 메모장 속 문장들을 하나둘씩 모으고 있다.

처음에는 단순한 기록이었는데
이제는 이걸 묶어서 전자책으로 정리해볼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무언가를 팔기 위해서가 아니라,
내가 지나온 감정의 터널을 정리하기 위해서.


📚 1. 왜 전자책이었을까?

사람들에게는 수익화 수단일지 모르지만
나에게 전자책은 ‘기록의 종착지’처럼 느껴졌다.

  • 내가 회복해온 감정의 흐름을
  • 내가 쌓아온 루틴과 문장들을
  • 단 하나의 ‘완성된 텍스트’로 엮고 싶었다

그게 바로 전자책이었다.
글을 책처럼 다듬는 그 과정 자체가 나에게는 또 한 번의 회복이기도 했다.


🧾 2. 텍스트를 모으는 기준은 단 하나

"내가 진짜로 느낀 것인가?"

잘 쓴 글이냐, 구조가 있냐,
가독성이 좋냐, 그런 건 중요하지 않았다.

오히려

  • 망가졌던 순간들
  • 불안해서 적어둔 메모
  • 울면서 썼던 일기

그런 문장들이 지금 와서 보면 가장 진짜였고, 단단한 기록이었다.


✍️ 3. 쓰고 → 다듬고 → 묶는 과정이 곧 콘텐츠 자산화

전자책을 만든다는 건
창조적인 일이라기보다
정리하는 일에 가까웠다.

지금까지

  • 감정일기
  • 블로그 글
  • 노션 메모

이 모든 건 이미 콘텐츠의 원재료였다.
나는 그걸 엮기만 하면 된다.
조금씩 붙이고, 다시 다듬고, 제목을 붙이는 것. 그게 전자책이 되는 과정이었다.


🌿 4. 수익보다 먼저, 완성해보고 싶은 마음

물론 나도
전자책이 팔려서 수익이 나면 좋겠다는 생각은 있다.
하지만 지금 가장 큰 바람은,

"내가 이만큼 회복했구나"를
한 권의 결과물로 보는 것이다.

그게 수치로는 1권이 팔리는 것일지라도,
내게는 그 1권이 잃었던 감정의 회복증명서가 될 것 같다.


💬 5. 당신도 텍스트를 모아두고 있다면

혹시 나처럼

  • 감정이 정리되지 않아서 썼던 글들
  • 무기력해서 적었던 메모
  • 새벽 2시에 남긴 일기

그런 텍스트들이 있다면,
언젠가 그걸 전자책이라는 방식으로 정리해보길 권하고 싶다.

 

누군가는 그걸 돈이 되는 콘텐츠라 부르겠지만,
나는 그걸 “살아낸 증거”라고 부르고 싶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