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500만 원을 잃고 난 뒤 가장 자주 떠올랐던 문장이 있다.

 

“왜 나만 이래?”

 

진심이었다.
남들은 다 잘하는 것 같은데
왜 나는 이렇게 망가질까.
왜 나만 실수하고, 무너지고,
왜 나만 다시 시작할 용기도 없을까.


💥 감정은 무너지지만, 비교는 더 무섭다

비교

 

 

돈을 잃은 것보다
감정을 잃은 게 더 아팠고,
감정보다 더 아팠던 건
자존감이 스스로를 향해 총을 겨눈 순간이었다.

  • “너는 왜 맨날 그래?”
  • “네가 뭘 한다고?”
  • “잘 되는 사람들 보라고. 너랑은 달라.”

그 모든 말이
나 스스로의 목소리였다는 게 더 무서웠다.


✍️ 그래서 나는 질문을 바꾸기로 했다

“왜 나만 안 될까?” 대신
다음과 같은 질문을 매일 던졌다.

  1. 지금 내가 느끼는 감정은 뭐지?
  2. 이 감정은 언제 처음 생겼지?
  3. 이 감정에 이름을 붙이면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
  4. 이 감정을 오늘 하루 동안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

이건
감정을 없애는 루틴이 아니라
감정을 ‘살펴보는’ 루틴이었다.


🧘 나의 감정 리추얼: 감정을 낱말로 바꿔내는 습관

나는 이 과정을 ‘감정 리추얼’이라고 부른다.

  • 부정적인 생각이 스치면,
  • 감정 상태를 문장으로 붙잡는다.

예를 들어:

“지금 나는 초조하다.
‘남들과 비교해서 뒤처지는 느낌’이 든다.”

이렇게 쓰고 나면
내 감정은 조금 더 객관적인 정보가 된다.


💬 감정을 기록하면, 비교에서 벗어날 수 있다

“왜 나만 안 되는 것 같을까?”
이 생각은 아직도 종종 찾아온다.

 

하지만 이젠

그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지금 나는 내 감정과 연결되고 있는 중이야.”
“이 경험은 나만의 자산이 될 거야.”
“지금의 기록이, 다음 회복을 위한 디딤돌이야.”

 

 

 

 

감정을 기록하는 사람은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감정을 ‘살펴보는’ 사람이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사주가 인생에 준 단서들, 자존감 회복과 방향 설정

내가 사주를 본 이유는 단순했다.
너무 힘들어서, 지금 겪는 이 혼란이 “내 잘못이기만 한 건지” 알고 싶었다.

어쩌면
내 인생에 원래부터 흐름이 있었고 나는 그걸 모르고 버티느라 지친 건 아닐까?

그런 생각으로
사주를 조금씩 공부하게 되었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은 걸 알게 되었다.

 

나를 위한 공부

 


🧱 1. ‘성향’과 ‘흐름’을 받아들이는 순간, 비교가 멈췄다

사주를 보면서 처음 놀랐던 건
내가 타고난 성향이 너무 정확하다는 점이었다.

  • 한 가지를 깊게 파고드는 고집
  • 감정 기복이 강하고, 표현이 서툰 면
  • 독립적이고 싶지만, 동시에 외로움을 많이 탐

이건 내가 평생 “왜 이럴까?” 하며
수치심을 느껴왔던 부분이었다.

그런데 이게
나의 구조일 뿐, 잘못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다.
그 순간부터
타인과 비교하는 마음이 조금씩 사라졌다.


🔄 2. 무토 일간의 중심, 그리고 나를 지키는 기준

내 일주는 무토(戊土).
단단한 산 같은 에너지로,
한 번 움직이면 흔들리지 않는 강단이 있다.

그동안은 왜 이렇게
유연하지 못하고 고집스러울까 자책했는데,
이건 단점이 아니라
‘지켜야 할 원칙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었다.

 

그래서 이제는
나에게 맞는 삶의 기준을
조금 더 분명하게 잡아가기로 했다.


📈 3. 대운이 말해준 전환의 타이밍

2026년부터 바뀌는 대운은
나에게 ‘자산화’, ‘확장’, ‘실현’의 흐름을 가져다준다.

지금까지의 시기가
버티고, 감정을 돌보며 회복해온 시간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기록을 구조로 만들고,
나만의 방식으로 세상에 꺼내는 시기
다.

 

사주는 타이밍을 알려주었고
그걸 미리 준비하면서
내 삶의 설계를 조금씩 구체화할 수 있었다.


💡 4. 사주는 정답이 아닌 ‘지도’였다

사주를 공부하며 가장 좋았던 점은
‘나는 원래 이래도 괜찮구나’라는 안도감이었다.

사주는
이 길로 가라, 라고 말하지 않았다.
대신

“너는 이런 성향이 있고,
이런 흐름 속에 있다.”
“그러니 어떤 선택을 하든, 이 기반을 기억하라.”


그건 나에게 방향을 정할 수 있는 지도가 되어주었다.


💬 나답게 살고 있다는 감각

요즘 나는
사주를 완전히 믿지도, 완전히 의지하지도 않는다.

 

다만
‘나답게 산다는 감각’을 회복하는 데
분명히 도움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제는 나를 억지로 바꾸려 하지 않는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그 흐름 안에서 더 잘 살 수 있는 선택을 하려 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감정 정리가 돈 복구보다 먼저 필요한 이유

1500만 원을 잃었다.
당시엔 그 돈을 어떻게든 다시 복구해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
어떻게 하면 다시 벌 수 있을까?
레버리지를 더 써야 하나?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해야 하나?

하지만 그렇게 달려들수록 내 감정은 더 불안해졌고 결국 돈도, 마음도 모두 무너졌다.


💔 1. 복구라는 말이 나를 더 무너뜨렸다

‘복구’라는 단어는 내게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너는 무너졌어. 지금은 망가진 상태야."
"이걸 다시 채워야 해. 원래 상태로 돌아가야 해."

 

 

하지만 돌아갈 수 없었다.
그리고 그 사실은 내 마음을 더 초조하게 만들었다.

‘복구’보다 먼저 필요한 건, ‘회복’이었다.


🌫 2. 회복은 감정을 돌보는 일부터 시작된다

돈은 나중 문제였다.
문제는 매일 같이 올라오던 감정들,
불안, 자책, 무기력, 자기혐오.

이 감정들이 나를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었다.
계획도 세울 수 없었고, 글 한 줄 쓰는 것도 버거웠다.

 

그때 느꼈다.
“이 감정들을 먼저 안아줘야 뭘 하든 가능하겠구나.”


🧩 3. ‘돈’보다 ‘나’라는 기반부터 다시 쌓아야 했다

나는 돈을 벌던 시스템도, 그걸 유지하던 정신력도 모두 잃은 상태였다.

그런데 돈만 다시 벌려는 건
기반 없이 벽돌만 다시 올리려는 것 같았다.

 

그래서 방향을 바꿨다.

  • 감정을 기록하기 시작했고
  • 몸을 돌보려고 노력했고
  • 일상의 리듬을 복구하기 시작했다

이 모든 게
돈보다 먼저 나 자신을 회복하는 과정이었다.


🌱 4. 회복 후엔, 돈에 대한 시선도 달라졌다

이상하게도 내가 조금씩 회복되기 시작하자
‘돈을 복구해야 해!’라는 강박이 줄어들었다.

 

그 대신
‘돈과 함께 살 수 있는 삶’을 상상하게 되었다.

돈을 좇기보다
나의 흐름 안에서 만들어가는 자산화
그게 블로그였고, 글쓰기였고, 기록이었다.


💬 5. 그래서 나는 오늘도, 나를 먼저 챙긴다

지금도 돈에 대한 두려움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안다.

 

돈을 복구하기 위해선, 내가 무너지면 안 된다는 걸.


복구보다 회복이 먼저라는 걸.
그리고 회복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걸.

 

오늘도 나는 감정을 한 줄 적는다.
그게 나를 다시 세워줄 걸 알기 때문에...

728x90
반응형
728x90

감정일기, 글쓰기 루틴, 정리 습관이 바꿔준 일들

나는 한때 감정을 피하려 했다.
‘괜찮아, 별일 아니야’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반복하면서
속으로는 무너져가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렇게 감정을 덮어두는 게 오히려 나를 더 지치게 만든다는 걸 알게 됐다.

 


🌧 1. 감정을 써보니, 마음의 모양이 보였다.

처음에는 아무 말이나 적었다.
"짜증난다", "후회된다", "괜히 그랬다"
그런 짧은 문장들로 시작했는데
며칠이 지나자 내 글 속에 패턴이 보였다.

항상 같은 시간대, 같은 상황에서
비슷한 감정을 반복하고 있었다.

‘아, 내가 힘들 때마다 같은 행동을 하고 있었구나.’
그걸 눈으로 보니, 감정이 조금 덜 무서워졌다.


✍️ 2. 감정을 기록하는 루틴을 만들었다.

하루의 끝에, 딱 10분만 시간을 정했다.

  • 오늘 어떤 감정을 가장 오래 느꼈는가
  • 그 감정은 어떤 상황에서 시작됐는가
  • 그 감정이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가

이 세 가지만 적는 습관을 들였다.
매일 쓰지 않아도 괜찮았다.
중요한 건 ‘내 감정을 피하지 않는 루틴’을 만든 것이었다.


🌱 3. 감정을 기록하자, 행동이 달라졌다.

이상하게도, 감정을 정리하기 시작하자
나의 ‘반응 속도’가 느려졌다.

예전에는 불안하면 바로 핸드폰을 열고,주식 차트나 코인 가격을 확인하곤 했는데
이젠 그 대신 노트 앱을 열어 글을 쓴다.

“나는 왜 지금 불안하지?”
그 질문 하나로 감정의 방향이 달라졌다.

감정은 사라지지 않았지만 이제는 나를 끌고 다니지 않는다.
내가 감정을 바라보는 쪽으로 조금씩 바뀌었다.


🌤 4. 기록은 나를 객관적으로 만들어줬다.

글로 내 감정을 보는 건, 거울 앞에 선 나를 다시 보는 것과 같았다.

기록은 솔직했고, 내가 얼마나 불안하고 예민했는지,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를 버텨낸 나 자신이 생각보다 괜찮은 사람이라는 걸 보여줬다.

나는 감정을 없애는 게 아니라, 그 감정과 공존하는 법을 배우고 있었다.


💬 5. 오늘도 나는 감정을 기록한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이 아니다.
그냥, 나 자신을 위한 기록이다.
이 루틴이 내 일상을 바꿔줬고, 조금씩 나를 되찾게 해줬다.

 

기록은 결국 나를 회복시키는 언어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돈을 잃는다는 건, 단순히 숫자가 줄어드는 일이 아니었다.
그건 내 안의 자존감이 함께 무너지는 일이었다.


💸 1. 돈보다 자존감이 먼저 무너졌다

처음엔 “이 정도 손실쯤은 괜찮아”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상하게 마음이 버텨지지 않았다.
계좌 잔고보다 더 비어간 건 내 자신에 대한 신뢰감이었다.

“나는 왜 이렇게 판단이 느렸을까?”
“왜 끝까지 버티려 했을까?”
“다른 사람은 잘 버는데 왜 나만 실패했을까?”

돈을 잃은 건 단순히 투자 실패였지만,
그 뒤에 남은 감정은 훨씬 복잡했다.
그건 ‘경제적인 손실’이 아니라 ‘정체성의 붕괴’였다.


🧱 2. 무너진 후엔, 나를 다시 세워야 했다

그때부터 조금씩 나를 회복하는 연습을 했다.
거창한 게 아니라, 아주 단순한 것들로 시작했다.

  • 하루에 한 줄이라도 감정을 기록하기
  • 내 안의 불안한 생각을 글로 꺼내기
  • ‘돈’ 대신 ‘나 자신’을 관리하기

기록을 하면서 신기하게도 마음이 조금씩 정리되었다.
돈이 돌아오진 않았지만, 감정이 돌아오기 시작했다.


🌱 3. 기록이 회복의 첫 단계였다

감정은 숫자처럼 바로 복구되지 않는다.
하지만 글로 적으면 ‘내가 느끼는 것’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걸 인식하는 순간, 감정은 방향을 찾는다.

“괜찮다”는 말보다
“지금 이런 감정이구나”라고 적는 게 나에게는 더 큰 위로였다.


✍️ 4. 이 블로그의 시작은, 나를 회복시키는 과정이다

이 블로그는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글이기보다,
나 자신을 회복하기 위한 공간으로 다시 시작된다.

  • 돈보다 감정을 먼저 돌보는 기록
  • 실패 이후 다시 일어서는 연습
  • 그리고, 내가 회복해가는 모든 과정

그 기록이 언젠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된다면, 그건 아마 이 글이 ‘진짜’였기 때문일 것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